Rhein-Ruhr 지역은 독일 최대의 공업 지역이자 700만의 인구가 분포하는 최대의 인구 밀집지역이다. 그러나 이 지역은 지금까지 다루었던 대도시와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도시 구조를 갖추고 있다. Berlin이나 Hamburg 처럼 중심적인 대도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중소형 도시 여러 개가 모여서 광역권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이다. 가장 큰 도시라고 해보았자 인구 65만의 Essen이다. 때문에 도시철도 역시 앞서 다룬 광역권과는 다소 상이한 체계로 운영된다. VRS의 노선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트램이나 U-Bahn보다는 도시와 도시간을 잇는 S-Bahn이나 Regional Bahn이 중심이 되어 운행되고 있다. 인구가 밀집되어 있지만 중심 도시가 없고 여러 중소도시에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Verkehrsverbund Rhein-Ruhr(VRR)이 이 지역의 교통 연합으로써, 1980년에 설립되어 DB와 3개의 민영철도회사 그리고 각 도시의 U-Bahn이나 트램의 운영 주체들을 총괄하고 있다. (Zweckverband) VRR은 Rhein-Ruhr 지역의 5개 지구와 19개 도시 간을 잇고 있는 RE, RB, S-Bahn을 주로 당담하고 있다.
☞ Duesseldorf(이하 Dusseldorf) 시 상세 노선도
① Regional Bahn과 S-Bahn
다른 도시의 경우 Regional Bahn과 S-Bahn 사이에 구분이 뚜렷할 뿐 Regional Bahn 내의 RE나 RB의 구분은 희미했던 것에 비해, 이 지역에서는 RE와 RB의 구분이 두드러 진다. RE는 급행의 역할을 하며, RB는 완행의 역할을 하며, 수요가 많은 도시 간의 경우 RB 대신 S-Bahn이 운행된다(물론 RB와 S-bahn이 동시에 운행되는 구간도 있다). RE나 RB의 경우 대개 1시간 시격으로 운행되나 노선 간에 겹치는 구간이 많기 때문에 대개 이보다 짧은 시격에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S-Bahn의 경우에는 대개 20~30분의 시격으로 운행된다. 'RE1, RB27, S1'과 같이 노선을 표시하며, 다음과 같은 노선이 있다.
RE(Regional Express) : 1, 2, 3, 4, 5, 6, 7, 9, 10, 11, 13, 14, 16, 17, 19, 57. 총 16개 노선
RB(Regional Bahn) : 27, 31, 33, 35, 36, 37, 38, 39, 40, 42, 43, 44, 45, 46, 47, 48, 50/51, 52, 53, 56, 59, 91. 총 23개 노선
S-Bahn : 1, 2, 3, 4, 5, 6, 7, 8, 9, 11, 28. 총 11개 노선
②U-Bahn
Regional Bahn과 S-Bahn이 중추를 구성한다면, U-Bahn은 시가지 내를 이동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U-Bahn이라기 보다는 Hannover에서 보았던 형태의 경전철(트램)이 U-Bahn으로서 운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비공식적으로는 Stadtbahn(도심철도)이라는 표현으로 더 많이 쓰인다. U-Bahn은 Hannover의 것과 마찬가지로 외곽에서는 노면전차의 형태로 운행되다가, 도심에서는 지하구간을 운행한다. 특히 노선 번호를 부여할 때, 도시 고유의 번호를 10의 자리 수에 부여하여 'U11'과 같이 두자리 수로 표시한다. U-Bahn이 있는 도시는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도시 번호).
Essen(1) : 11, 17, 18.
Bochum, Herne(3) : 35.
Dortmund(4) : 41, 42, 45, 46, 47, 49.
Dusseldorf(7) : 70, 74, 75, 76, 77, 78, 79.
Duisburg (9) : 79(원래 Dusseldorf의 노선인데 Duisburg로 연장됨).
③ tram, 모노레일, 버스 등
Essen, Bochum, Herne, Gelsenkirchen, Dortmund, Duisburgn 등에는 'Strassenbahn'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tram 노선이 운행되어 S-Bahn이나 U-Bahn의 하위 체계로써 공공교통 체계를 보완해준다. 트램의 노선 표시는 별도의 알파벳 없이 세 자리 수로 표시하며, U-Bahn와 같이 도시 번호를 100자리 대에 부여하는데, 예를 들어 Dortmund의 트램은 '403'처럼 표시한다.
한편 Wuppertal(도시 번호 6)에는 'Schwebebahn'이라는 현수식 모노레일이 운행되고 있는데, 알파벳 없이 '60'으로 표시하며 U-Bahn 체계에 포함시키고 있는 점이 흥미롭다. Schwebebahn은 1901년 운행을 시작했는데 운행당시에도 매우 독특한 철도로 인식되었다고 한다. 2차 대전 당시 몇몇 역사가 파괴되어 운행을 잠시 중단한 적 이외에는 100여 년간 운행을 계속 이어왔다. 1999년에는 열차가 강으로 추락해 3명이 숨지고 수 십여 명이 부상을 당하는 사고가 있지만, 이후 전 구간의 레일을 교체하는 등 새롭게 재단하고 있다.
이 외에도 Dortmund에 H-Bahn이라고 하여 현수식 모노레일이 있고, Dusseldorf에는 공항을 잇는 모노레일인 'Skytrain'이 있지만 운행 거리가 짧은 셔틀 형태이다. 버스 역시 철도 체계와 같이 운행되고 있는데, 버스와 철도가 거의 별개로 운영되는 우리와는 달리,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노선번호 등을 철도 체계와 함께 유기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SB(Schnell Bus)라는 이름으로 광역버스가 운행되어 철도가 커버하지 못하는 구간을 보완하며, 각 도시의 철도역을 중심으로 시내 버스도 운행되고 있다.
참고 사이트
http://www.urbanrail.net/index.htm
시각표 보기
광역(VRR)http://www.vrr.de/Fahrplanauskunft/fahrplantab.htm#re
Essen http://www.evag.de/?p=info/fahrplaene
Dortmundhttp://www.bus-und-bahn.de/ocx2.exe?GP=225
Wuppertal
http://service.rsk.com/p/wsw/mobicenter/xmlopen.php?root=_mobicenter/ticketsundpreise&page=_mobicenter/busundbahn/fahrplanauskunft/fahrplan http://www.rheinbahn.de/opencms/opencms/html/de/index.htm?size=mittel
노선도 출처
광역(VRR) http://www.vrr.de/Fahrplanauskunft/verbundfahrplan.htm
Essen http://www.evag.de/?p=info/netzplaene/tagnetz
<다음 편에서 계속>
ⓒ Shinzino 2005 http://blog.paran.com/station215/
'□ 해외철도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ICE의 이모저모 (4) | 2006.07.18 |
---|---|
[독일] 2.6 기타 지역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14 |
[독일] 2.4 Hamburg/Hannover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13 |
[독일] 2.3 Muenchen/Nuernberg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02 |
[독일] 2.2 Berlin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0.26 |
1) Hamburg
인구 200만의 독일 제2 도시인 Hamburg에는 3개의 U-Bahn 노선, 9개의 S-Bahn 노선, 9개의 Regional Bahn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외에 여러 장, 단거리 버스 노선이 존재한다. 이러한 교통 업체들은 Hamburg 광역권의 3개 지자체에 걸쳐 있는데 이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Hamburger Verkehrsverbund (HVV)이다.
Hamburg의 공공교통 운영 체계는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1단계로 Public Transport Authorities(공공교통협회)는 정책적이거나 재정적인 차원에서 공공교통을 지원한다. 2단계는 HVV로 3개의 주에 걸쳐있는 Hamburg 광역권의 공공교통을 통합 관리한다. 정책 당국과 실질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 사이의 간격을 조율하며, 승객들에게는 일원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단계는 이러한 실질적인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 업체들로, DB와 U-Bahn의 운영자인 Hamburg Hochbahn AG, 이외의 AKN, VGN 등을 비롯한 민간 철도 업체와 버스 운영 회사들이 있다.
- A라고 쓰여진 노선은 AKN이라는 민영철도 회사의 노선으로 A1, A2, A3의 3개 노선이 운영 중이다.
참고 사이트
http://www.urbanrail.net/index.htm
시각표 보기
http://www.hvv.com/start.htm?url1=2_start&end1=php&url2=2_4_index&end2=php&anker=kein&art=site
노선도 출처
http://www.hvv.com/seiten/content/1_2_1.htm
2) Hannover
Hannover는 Hamburg에서 남쪽으로 약 180km 떨어져 있으며, 약 50만 이상의 인구를 가진 Niedersachsen 주의 주도이다. Großraum-Verkehr Hannover (GVH)가 Hanover 광역권의 공공교통을 총괄하고 있다.
Hannover 공공교통의 특징은 tram을 지하화하여 지하철처럼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Berlin이나 Munchen 같은 대도시에서 U-Bahn과 tram이 별개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Hannover에서는 둘 간을 통합하여 Stadtbahn(도시철도)이라는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Stuttgart, Frankfurt 등 독일의 다른 몇몇 도시에서도 볼 수 있는데, 수요와 예산이 한정된 중소형 규모의 도시에 매우 효율적인 형태이기 때문이다.
① ☞ DB 노선도 (광역 노선도)
- 그림 설명
- S-Bahn과 Regional Bahn은 대부분 30분이나 1시간의 시격으로 운행되므로, 두 노선 이상이 겹치는 구간에서는 30분 이하의 시격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S-Bahn은 5개의 노선이 운행되는데, S1, S2, S3의 경우 Regional Bahn 노선인 R1, R2, R3의 완행 역할을 한다. 이들 노선에서 S, R-Bahn은 각각 1시간의 시격으로 운행되며, 급행이 정차하는 역에서는 30분의 시격으로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② ☞ Stadtbahn 노선도
- 그림 설명
- tram이 꼭 노면으로 다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깨고 혼잡한 도심 구간에서는 지하화를 하였으며, 한 구간에 한 노선이 다니는 것이 아니라 여러 노선이 도심 구간을 공유한다. Hannover Stadtbahn은 총 연장 116.6km 중 19km가 도심의 지하구간이며, 총 194개 역 중 19개가 지하역이다.
- 검은 박스 안에 흰 글씨로 쓰여 있는 것은 노선 끝에 있을 경우 종점 표시이며, 중간에 있을 경우 접근할 수 있는 철도역을 의미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urbanrail.net/index.htm
시각표 보기, 노선도 출처
http://www.efa.de/gvh/linieninfo-2006.html
<다음 편에서 계속>
ⓒ Shinzino 2005 http://blog.paran.com/station215/
'□ 해외철도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2.6 기타 지역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14 |
---|---|
[독일] 2.5 Rhein-Ruhr 지역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1) | 2005.11.13 |
[독일] 2.3 Muenchen/Nuernberg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02 |
[독일] 2.2 Berlin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0.26 |
[독일] 2.1 도시철도 개관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0.26 |
한국철도의 좀더 새로운 간선열차 운영 체계를 구상하여 노선도로 그려보았습니다.
기존의 새마을호와 무궁화호로 운행되던 간선열차 체계를 통합하여 ITX(Intercity Train eXpress)라는 명칭을 붙여보았는데요...
KTX와 재래선 간선열차(일반열차)를 전혀 별개의 것으로 구분하기 보다는, 둘 다 안락한 간선서비스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보고,
기본적으로 전국의 주요 도시는 KTX와 ITX로 다 갈 수 있게 하였습니다.
특히 일본의 JR특급운행계통도와 독일의 IC/EC노선도의 형식을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지도에 관한 몇가지 설명을 하면요,
1. 현재 건설중이거나 계획중인 노선을 반영하였다.
-동해북부, 동해중부선, 중부내륙선+신분당선, 원주-강릉선, 경전선 연장(목포-보성, 창원-사상 구간), 장항선 군산 연장, 아산-당진-태안선 등
2. 동대구-밀양-마산, 신경주-포항, 전라선 전구간 등, 재래선을 개량하여 KTX가 투입될계획이 있는 구간에는이를 반영하였다. 특히 마산행과 포항행의 중련 KTX를 투입하여 동대구에서 분기하면 어떨까 제안해본다.
3. KTX 호남선의 경우 대전에서 분기하도록 했으며(인구 150만 대전의 수요를 무시할 수 없기에), 천안-공주-논산 구간에는 일반철도의 건설이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ITX 노선을 구상하였다.
4. 서울역과 부산역은 KTX 전용, 용산역과 부전역은 ITX 전용으로 가정하였고, 해운대역의 경우 청량리역처럼 부산 동부의 간선역으로 설정하였다.
5. 포항이나 경주 도심구간의 경우 외곽 이설로 폐지될 가능성이 높지만, 도심의 접근성이 보장되는 철도노선의 폐쇠는 신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외곽역의 경우 KTX나 장거리 ITX의 역으로, 기존 도심역의 경우단거리 ITX와 광역열차의 정차역으로 설정하였다.비슷한 의미에서 광주역은단거리 ITX와 지역/광역열차 전용역으로 설정하고, KTX나 장거리 ITX의 경우 외곽인 송정리역으로 돌렸다.
6. KTX-ITX체계는 매시 같은 분에 출발하는 일정한 패턴을 기본으로 하여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편성 수가 하루 4편 이하로 제한적인 장거리 노선의 경우(부전-목포/광주, 해운대-강릉, 용산-삼천포 등은 제외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열차 등급에 대한 연구를 해보았습니다. ☞ 열차 등급 개편에 대한 제안 ..시간이 되시면 한번 읽어주시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SFM - 미래노선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SFM-06S/06I/06K 수도권 철도 종합 노선도 (2) | 2005.09.19 |
---|---|
SFM-06S/06I/06K 노선도 분리판 (0) | 2005.09.19 |
SFM-04b-남동권광역철도 (2004-02-04 ) (0) | 2005.09.19 |
SFM-04b-부산지하철 (2004-01-29) (0) | 2005.09.19 |
SFM-03k-수도권광역철도 (2003-08-06) (0) | 2005.09.19 |
1) Muenchen
Muenchen(뮌헨. 움라우트 때문에 Mue로 표기. 이하 u로 표기.)은 인구 120만 가량의 독일 제3의 도시이자 독일 남부 최대의 도시이다.Munchener Verkehrsgesellschaft(MVG)가 U-Bahn과 Tram 등을 운영하며, S-Bahn Munchen이 S-Banh이 운영한다. Regional Bahn은 DB가 주축을 이루고 있지만, Connex社가 운영하는 민영철도인 Bayerische Oberlandbahn(BOB)도 있다.이외의 여러 버스 운영 업체들이 있으며, 이러한 여러 업체들이 제공하는 공공교통 체계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주체인 Munchen Verkehrsund Tarifverbund(MVV, 뮌헨 교통 엽합)가 있다. 승객들은 MVV의 통합 관리 서비스에 의해 운영 주체에 상관없이 표 한장만으로 Munchen의 공공교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시각표, 노선도, 운행 정보 등을 모두 MVV에서 얻을 수 있다.
- U-Bahn은 6호선까지가 온전한 노선 그대로 운행하고, U7과 U8은 다른 두 노선을 거쳐 운행한다. U7과 U8의 노선번호는 두 가지 색깔로 표시되어 운행하는 구간을 나타내며, 노선번호가 쓰여진 역까지 운행한다. U7과 U8은 주로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한다.
- S-Bahn은 8호선까지 있으며 Berlin처럼 운행 계통에 따라 두자리 수로 노선을 표현하기도 한다. S3호선은 U7과 U8처럼 S4의 일부 구간과 S8의 일부 구간을 운행하는 노선이다. A라고 씌여진 노선도 S-Bahn의 일종이다.
- 검은 무늬가 들어간 노선은 그냥 노선을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이지 다른 의미는 없다.
- 붉은 색 DB 마크가 표시된 역은 DB의 간선열차나 Regional Bahn이 정차하는 역이며, 파란색 'BOB'마크가 쓰여진 역은 BOB(민영철도)의 정차역이다. 'P+R'은 주차장이 있는 역이다.
- 시내의 tram 노선을 중심으로 나타낸 노선도이다. tram은 12, 18, 19, 27호선과, 운행구간이 거의 비슷한 15/25, 16/17, 20/21호선이 있다. 모든 구간을 독자적으로만 운행하는 노선은 없고, 대부분이 시내 중심에서는 운행 구간을 공용한다.
③☞ 야간 노선도
- S-Bahn은 야간 운행을 하지만, U-Bahn은 야간 운행 노선이 없다. 대신 tram과 버스가 야간의 승객을 수송하는데, 이 경우 평시 운행 노선 번호 앞에 N자가 붙는다. tram은 N17, N19, N20, N27이 운행하고, 버스는 N40이 운행하며, 휴일이나 주말에는 N41, N42, N43, N45, N47 버스가 추가로 운행된다.
참고 사이트
http://www.urbanrail.net/index.htm
노선도 출처
2) Nuernberg
Nuernberg(뉘른버그. 움라우트 때문에 Nue로 표기. 이하 u로 표기.)는 Munchen에서 북쪽으로 200km 가량 떨어져 있으며, 광역권의 인구는 80만으로 Munchen에 이어 바이에른 주에서 두번째로 큰 도시권이다. Verkehrsverbund Großraum Nurnberg(VGN)이 Nurnberg 광역권의 공공 교통을 총괄한다.
U-Bahn은 1, 2호선의 두 노선이 있는데, 일부 구간만을 왕복하는 열차가 각기 11, 21호선으로 따로 분리되어 있는 것이 흥미롭다. 11, 21호선 열차는 혼잡한 출퇴근 시간에만 운행된다. U1은 1972년 개통되었으며, 1999년에는 U2이 공항으로 연장되었다. 이외에도 U3 노선이 현재 공사 중이고 그 첫번째 구간이 2005년 개통된다.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U1의 Nurnberg 중앙역 - Furth 중앙역 구간이 1835년 독일 최초로 건설된 철도 구간이라는 점이다. 개통 당시 증기기관차가 운행했던 이 노선은 1839년 트램 노선으로 바뀌었고, 1970년대에 U1이 개통과 함께 지하화되었다. U-Bahn과 함께 6개의 트램 노선이 도심의 공공교통을 당담하고 있다. 1, 2, 3 호선이 U-bahn으로 대체되었기 때문에, 노선번호가 4호선부터 시작하여 9호선까지 있다.
S-Bahn은 3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Munchen의 S-Bahn과 유사한 체계이다. S-Bahn은 기존의 철도 구간을 각역정차로 운행하며(수도권전철처럼), 교외에서 완행의 역할을 하던 Regional Bahn(R)이 이 구간에서 급행의 역할을 한다. Regional Bahn은 지선을 포함하여 총 20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이 중 8개의 중심적인 노선은 한 자리수로 노선을 표시하며(R1~R8), 지선의 경우 두번째 자리의 숫자를 이용하여 표시한다(R11, R63...처럼).
- 설명 생략
- 여기에 들어가면 더 자세한 시내 노선도를 볼 수 있다.tram과 U-Bahn의 운영 주체인 VAG의 사이트이다.
참고 사이트
http://www.urbanrail.net/index.htm
시각표 보기
http://vgn.de/komfortauskunft/linien/?language=de
노선도 출처
http://www.vgn.de/gesamtraum_schiene/?language=de
<다음 편에 계속>
ⓒ Shinzino 2005 http://blog.paran.com/station215/
'□ 해외철도 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일] 2.5 Rhein-Ruhr 지역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1) | 2005.11.13 |
---|---|
[독일] 2.4 Hamburg/Hannover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1.13 |
[독일] 2.2 Berlin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0.26 |
[독일] 2.1 도시철도 개관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0) | 2005.10.26 |
[독일] 1. 간선철도 편 (노선도와 함께하는 독일 철도 소개) (1) | 2005.10.26 |
[철도 회사 공식사이트]
☞ http://www2.jrhokkaido.co.jp/global/korean/index.html (K, E, TC, J) JR 훗카이도.
☞ http://www.jreast.co.jp/ (K, E, C, J) JR 동일본.
☞ http://www.jr-central.co.jp/ (E, C, J) JR 동해.
☞ http://www.westjr.co.jp/ (E, C, J) JR 서일본.
☞ http://www.jr-shikoku.co.jp/ (J) JR 시코쿠.
☞ http://www.jrkyushu.co.jp/index.html (K, E, J) JR 큐슈.
☞ http://www.japanrail.com/ (E, C) 외국인을 위한 JR의 전체적인 안내 사이트
☞ http://www.jrfreight.co.jp/index.html (E, J) JR 화물.
☞ http://www.meitetsu.co.jp/ (E, J) 나고야철도 (메이테츠). 나고야를 주름 잡고 있는 민영철도회사.
☞ http://www.metosha.co.jp/top.html (J) 메트로 차량 주식회사.
[유용한 정보]
☞ http://www.jr.cyberstation.ne.jp/ (J) 한국철도의 '바로타' 사이트처럼 JR 열차의 좌석 조회, 표 예매를 해주는 사이트.
☞ http://ekikara.jp/ (J) 에키카라넷. 일본 모든 철도의 시각표 안내.
☞http://map.biglobe.ne.jp/cgi-bin/norikae.cgi?cmd=2 (J) Biglobe 地圖 환승안내. 출발역과 도착역을 검색하면 여러가지 루트를 보여준다.
☞ http://www.ryoko.info/rosen/train/data/rosen.html (J) 旅行.info에서 제공하는 철도노선도 정보
☞ http://www.chikahaku.jp/index.html (J) 도쿄에 있는 지하철 박물관.
☞ http://www.ejrcf.or.jp/(J, E, C) 동일본철도문화재단
☞ http://www.jrtr.net/start.html(E) Japan Railway & Transport Review. 동일본철도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영어 잡지.일본 뿐아니라 세계철도에 관한 심도있는 논문 등을 읽을 수 있다.
[동호회, 개인 사이트]
☞ http://cafe.daum.net/jtrain (K) 일본철도연구회.
☞ http://www.jtrain.wo.to/ (K) 제이트레인, 일본철도 차량도감. 김성수 님의 사이트. 일본의 철도 차량을 중심으로 한 정보.
☞ http://ticket11.hp.infoseek.co.jp/ (K) 일본철도 소개. 이치카와 유우타 님의 사이트
☞ http://www.mifuru.to/frdb/ (J) 일본판 미래철도 데이터베이스.
☞ http://members.aol.com/hisakyu/index_kr.html
(K, E, TC, SC, F, J) 히사큐 일본철도 소개. 일본 철도 회사의 각 노선과 역 등 방대한 자료에 놀라고, 그것을 6개국어로 소개하는 것에 놀란 사이트.
☞ http://www2.pf-x.net/%7Ejust-r/data/data-top.html
(J) 'Just Railway!'란 사이트 중 일본 철도차량의 제원을 다룬 부분.
☞ http://home.s02.itscom.net/tokuseki/index.html
(J) 특별석 연구소. 좌석의 안락함과 서비스에 대한 고찰. 일본의 두터운 철도애호가 층을 실감한다.
☞ http://www.alpha-net.ne.jp/users2/curoka/tfv.htm
(J) Train Front View. 일본과 전 세계 각국의 열차 앞모습을 아이콘화 해 전시.더불어 신칸센 역과 열차에 대한 설명도 있다.
☞ http://www.246.ne.jp/~kurosuke/index.html
(J) 일본 전국의 철도사진. 각지에서 찍은 JR, 사철 열차 사진에 친절한 설명까지...
☞ http://www.asahi-net.or.jp/~dd5t-mrt/index.html
(J) 무-씨의 철도풍경. 50년대부터 찍어온 철도 사진을 전시한 개인 사이트. 일본인들의 뿌리 깊은 철도 사랑을 엿볼 수 있다.
☞ http://www.ne.jp/asahi/at-train/jr/
(J) 레일 갤러리. 운영자가 20대였던 1970년대부터 찍어온 철도사진들. 특히 훗카이도에서의 사진은 강력 추천!
☞ http://worldtrain.web.infoseek.co.jp/
(J) 철도세계여행. 세계 여러나라의 철도 여행을 하면서 찍은 사진들 전시. 1993년 한국에 와서 탑승한통일호 침대차가 인상적이다.
☞ http://homepage3.nifty.com/bong-seol-gang/index.html
(J) 동아시아철도 "식객" 사무소. 일본인의 시각에서 본 한국과 대만의 철도.
☞http://www5f.biglobe.ne.jp/~travel-100years/
(J) 백년의 철도여행. 아시아는 물론 구미 각국의 귀중하고 방대한 철도 역사 자료에 감탄한다.
'□ Site L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국 철도 관련 사이트 (0) | 2006.08.04 |
---|---|
독일 철도 관련 사이트 (0) | 2006.08.04 |
러시아 철도 관련 사이트 (0) | 2006.08.04 |
기타 해외 철도 관련 사이트 (0) | 2005.10.28 |
기타 유용한 사이트 (0) | 2005.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