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철도동호회 전문①게시판 12217번글, 2004.07.01)

시각표를 보면 서울-부산간에 새마을호가 5시간 20분, 무궁화가 5시간 40분으로 20여분 밖에 차이가 안나는데요, 가격은 만원이 넘게 차이나네요. 그렇다면 20분 차이에 만원의 가치가 있다고는 보지 않습니다. 즉 새마을과 무궁화호의 차이는 시간이 아니라, 시설이나 좌석의 편안함, 또는 입석 손님이 없으므로 해서 오는 쾌적함 등이라고 봅니다.

그렇다면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이 두 등급을 통합해서 한 편성으로 짜되, 객실로써 두 등급의 수요를 분리하는 것입니다. 새마을호 특실과 일반실의 수요는 그대로 특실과 일반실(입석 없이)로 하고요, 무궁화호의 수요는 자유석 객실로 하는 겁니다. (주말에 경부선 무궁화호를 이용하면 입석 승객들로 붐비고, 객차밖에 신문지까지 깔고 안자가는 승객들을 보면, 이렇게 격하된 무궁화호는 좌석을 좀더 늘리고 자유석 제도로하는 것이 더 적합하지 않을까 생각해왔습니다.) 물론 자유석과 특/일반실의 편성 비율은 기존의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편성의 비율로 맞추는 것입니다. 필요에 따라 두 수요가 바뀐다면 유연하게 객실 비율을 조정할 수도 있고요...



이 경우 장점은- 두 등급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새마을호 이용자나 무궁화호 이용자 모두 자신의 선택을 유지하면서 매 시간 이용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새마을호 입장에서도 적은 횟수로 많은 좌석을 운행하여 빈 좌석을 만드는 것보다, 조금씩 여러차례 운행하여 수요를 되도록 채우는 것이 더 장사가 될것 같습니다. 마치 새마을 중련 편성을 통해 생기는 효과와 비슷하지요. 특히 편성수가 많은 경부선보다는, 전라선이나 장항선, 중앙선처럼 하루에 새마을호가 5회 이하로 다니는 노선에서 더 효과가 있을듯 합니다.


단점이나 문제점은- 1.우선 정차역 문제인데요. 이 혼합등급열차가 기존의 새마을 정차역으로 정차할 경우, 안 서는 역이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고요. 반면 무궁화 정차역으로 할 경우 그나마 20분이라도 빨리 도착하는 것을 원하던 수요나, KTX비 수혜 지역에서 빠른 이동을 원하던 수요는 손해를 보게 된다는 점입니다. 이 문제는 선택 정차로 풀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2.기존에 새마을호로 사용되던 PP와 무궁화호로 이용되던 객차형열차가 엄연히 다른데, 이렇게 같은 등급으로 운행할 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 물론 내부 개조로 pp의 일부 객실은 자유석에 맞게, 일부 무궁화 객실은 새마을 수준으로 바꾸어 노멀라이징을 해야겠지요..물론 그렇게 개조하는데 비용이 들겠네요.

3. 기존에 새마을호에 있다가 사라진 자유석제도나, 현재 KTX의 자유석 제도가 별 효과 없었다는 점인데요.. 제 생각에 그것은 자유석의 가격이 사람들을 유인할 만큼 크게 싸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통합등급열차의 같은 편성 내에서, 자유석을 현재의 무궁화 수준으로 하고, 일반실(지정석)을 현재의 새마을호 가격 수준으로 한다면, 경제성을 쫒는 수요가 충분히 자유석 쪽으로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일본철도의 운영을 곰곰히 살펴보면서 나온 생각이기도 한데요. 일본의 경우 간선의 주력열차 역할을 하고 있는 특급이 그린샤-지정석-자유석의 세 단계 객실로 편성되어있지요. 그 중 자유석의 경우 단거리나 경제성을 취하는 수요로 붐비고요. 이 수요가 우리의 무궁화호의 수요에 비교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점을 적용시켜본 것입니다.

소네 사도루라는 일본철도전문가는 "새로운 철도시스템(전파과학사, 1992, 김양모 역-한우진님께서 언제가 추천하셨던 책^^)"이라는 책에서 일본국철의 비효율을 지적하면서 말한것 중 하나가, 고정 편성의 폐해인데요.. 침대-객차 혼합, 통근형열차에 그린샤 객차를 편성시키는 것 등으로 유연화시키자는 주장을, 무리는 있겠지만, 새마을-무궁화에 참고해보았습니다.

------------------------------------------------------------------------------------------------

음.. 경부선은 7월 15일 다이아 개정때 새마을 4시간 30~40분, 무궁화 5시간 20~30분, 즉, 고철 개통이전 수준으로 환원됩니다. 그리고 무궁화/새마을을 섞어서 운행하면 손님 통제가 안될겁니다. 예전에 무궁화 특실 운영할때도 특실에는 입석손님은 들어올 수 없는데 워낙 사람이 많아서 특실로 들어가시는 분이 많더군요 04.07.02 13:58
그러다가 차장님 오셔서 다 내보내시고, 한 10분 이따가 또 들어오시고.. 이런게 반복이더군요. 현재 경부선 수요를 보았을때 자유석손님이 좌석이 없다면 새마을쪽으로 많이 오실겁니다. 이 사이에 통제할 인력이 필요할거구요. 그러면 승객혼란에다가 반발도 만만치 않을거라는 생각이... 04.07.02 14:03
우리나라의 경우는 자유석이라는 개념이라는것에 대해 상당히 거부감이 있더군요. KTX도 자유석을 일부러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는 걸로 압니다.(일부러 이용한다는 뜻은 애초부터 이용하려고 맘을 먹은 것이죠. 자유석 승객들 상당수가 정기권 이용객 또는 일반실이 매진되서 온 수요들이죠.) 04.07.02 14:15
예전 새마을호 자유석때는 좀 달랐습니다. 자유석 나오고 좀 지나니 사람들이 자유석을 선호하더군요. 일반실 좌석보다 먼저 매진도 되었구요. 15%할인에다가 맘대로 앉을 수 있으니 그런거 같습니다. 저도 자유석 많이 이용했었는데 거의 항상 만석이었구요. 특히 경부선은요. 04.07.02 16:21
표파는데서 기다리고 있는데 많은 손님분들이 젤 먼저 새마을 자유석 달라고 하던게 생각이 나는군요. ktx도 할인율을 좀 높이고 홍보가 많이 된다면 더 많아지리라고 봅니다. 04.07.02 16:19
예전 새마을 자유석있을때 손님들이 개찰이 시작되자마자 5호차로 질주(?)해서 자리를 맡으셨던 게 기억이 나네요. 저도 같이 뛰느라 숨차서 미치는줄 알았었죠^^;; 특히 부산역에 있었던 새마을 전용 개찰구의 경우 5호차까지 가려면 좀 멀었었죠. 04.07.02 16:23
음.. 그 생각을 못했군요. 자유석 승객의 지정석 진입이라... 아 그리고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요. 715 다이어 개정되면 2시간 한대꼴인 서울부산간 새마을/무궁화 열차의 횟수도 더 늘어나게 되는 것인지요? 04.07.03 03:06
개정이후 1시간에 한대꼴로 바뀝니다..(심지어는 3분에 한대 다닐때도 있습니다.. 오전 9시 시간대..) 04.07.03 07:37

posted by Gosanza S. Zino
: